핵심인력을 오랜기간 잡아두고 싶은 기업!
전문 인력으로서 성장하고 싶은 직원!
이 둘이 만나 함께 성장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좋은 정책이기도 한 중소기업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(5~10년)를 소개하려 합니다.
능력 있는 직원을 중소(중견)기업에서 오랜기간 근무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임과 동시에 전문 능력도 향상 시키고 목돈을 마련하기 좋은 정책인거 같습니다. 즉 사업주와 근로자 둘다 만족 할 수 있는 정책임에도 많은곳에서 활용을 잘 못하고 있는거 같네요..
제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 또한...(경리한테 물어봤더니 공장장이 안된다고 했다는... 이거했으면 아마 조금이라도 더 근무 할 사람이 많을텐데... 생각을 못하는건가??)
아무튼 이러한 좋은 정책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블로그를 작성합니다.
중소기업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란?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qJyV/btqMDyjhxeL/Q3uxVkbE50dkagkOvh7IHK/img.jpg)
정부, 중소(중견)기업 사업주, 청년근로자(만15세 이상 34세 이하,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)이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금을 가입기간(5년)에 따라 장기재직한 청년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공제
지원내용
정부,기업,청년이 함께 저립 -> 5년 근속 시 3천만원 자산 형성
-청년 : 5년간 720만원 적립(최소 월 12만원 * 60개월)
◆ (납입방식) 사전에 설정한 청년근로자 명의 시중은행 계좌에서
매월 정해진 날짜(5일, 15일, 25일 중 청년근로자 본인이 선택)에 자동이체
-기업 : 5년간 1200만원 적립(최소 월 20만원 * 60개월)
◆ 세제혜택 : (청년) 기업납입분에 대한 근로소득세 감면(50%)
(기업) 기업납입분은 전액 손금산입 및 세액공제(25%)
◆ 납입방식 : 사전에 설정한 중소기업 명의 시중은행 계좌에서 매월 정해진 날짜(5일, 15일, 25일 중 중소기업이 선택)에 자동이체
-정부 : 3년간 1080만원 적립93년간 7회 분할적립)
◆ (적립방식) 3년간 총 7회(1, 6, 12, 18, 24, 30, 36개월)에 걸쳐 성과보상기금에 적립
◆ 청년근로자 공제납입금 또는 중소기업 기여금을 다음의 차등적립방식으로 납입할 수 있으나,
정액적립방식과 차등적립방식간의 변경과 차등적립방식의 년차별 금액조정은 불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wCMH/btqMDzJgFix/excadkQxSs6QBsA87YZjNk/img.png)
가입대상
기업 :
「중소기업기본법」상의 중소기업으로 부동산업·주점업(일반유흥 주점업, 무도유흥 주점업 및 기타 주점업)·기타 갬블링 및 베팅업·무도장 운영업 등을 제외한 종업원 1인이상의 기업.
(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上 중견기업도 중소기업에 포함)
가입제한
휴∙폐업 기업, 국세 또는 지방세를 체납중인 기업
「중소기업기본법」상 중소기업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(비영리법인 등)
청년
만15세 이상 34세 이하,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
(군 전역자는 군복무기간 만큼 연장, 최대6년)
가입기간
5~10년 만기제(단, 1년단위로 연장 신청가능,만기수령 후 재가입시 3~30년 선택가능)
가입방법
온라인 : 내일채움공제 에서 신청가능
STEP 01
공제가입 및 신청
기업, 핵심인력 입력 후 공제금액 입력 및 청약신청
STEP 02
가입심사 및 승인
STEP 03
공제금납입
최초 공제금 납입 후 예정일 자동이체 출금 (만기시까지)
STEP 04
온라인서비스이용
납부내역 조회, 미납급 조회, 공제금 변경, 대출신청 등
오프라인 :
STEP 01
지역본부
STEP 02
공제가입금액 확정 및 청약
공제계약 청약 신청시 작성 및 제출
STEP 03
가입심사 및 승인
STEP 04
공제금납입
최초 공제금 납입 후 예정일 자동이체 출금 (만기시까지)
STEP 05
온라인서비스이용
납부내역 조회, 미납급 조회, 공제금 변경, 대출신청 등
구비서류
공통서류 :
청약신청서, 사업자등록증(기업)사본, 국세납세증명서, 지방세납세증명서,법인등기부등본(법인기업)
홈페이지 신청:
공인인증서(기업)
방문신청:
기업주와 핵심인력 방문 : 위의 공통서류만 필요
기업주(또는핵심인력)방문 : 공통서류, 신분증 사본(기업주,핵심인력), 인감도장및 인감증명서(상대방), 위임장(상대방)
대리인 방문 : 공통서류, 신분증사본(기업주,핵심인력), 인감도장 및 인감증명서(둘다), 위임장(둘다)
중도해지
귀책사유가 중소기업에 있는 경우 환급금의 수급권자는 핵심인력이며,
핵심인력 귀책인 경우 중소기업이 납부한 금액은 중소기업이, 근로자가 납부한 금액은 근로자가 수급권자가 되며,
근로자가 사망,업무상 재해 등으로 불가피한경우 핵심인력이 전부 수급받게된다.
즉 근로자로서는 손해는 아니라는 말씀!
기타
내일채움공제의 경우 근로자:사업자 가 1:2비율로 일정 금액을 납입하여 5년이 된 시점에 장기재직한 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정책이랍니다.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와 다르니 이에 유의하세요!! (청년 재직자 내일채움 공제의 경우 국가에서도 일정 금액 받을 수 있지만 그냥 내일 채움 공제의 경우 근로자+사업주의 금액+복리이자만 지급됩니다)
내일채움공제 관련 정보가 궁금하다면 여기 를 참고하세요
문의처 : 내일채움공제 고객센터 1588-6259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LIhR/btqMAQEYgnt/Q2lfmk9nkpnMSPURdqn9t0/img.jpg)
마지막으로
근로자의 입장에서는 목돈마련 및 능력향상에 도움이 될 거 같으며,
사업주의 입장에서는 세제혜택과 동시에 잦은 이직이 많은 요즘 시대에 한명의 귀중한 회사의 인재가 될 핵심인력을 키워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좋은 정책이라 생각되네요
중소기업과 청년이 서로 상생 할 수 있는 시스템인거 같습니다.
아직까지 모르고 계셧다면 빨리 신청해보세요!!
특히 청년 재직자라면, 사업주와 잘 이야기 해서 신청해보세요!
(편법이긴 하나 재직자가 사업주가 내야할 금액까지 내더라도 신청이 가능하다면 하세요 국가기금은 덤이니까요!!)
더욱 많은 청년정책이 궁금하다면 확인하세요!
'청년의 유익한정보 > 국가정책 - 청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0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4분기 12월 1일까지 신청하세요![만24세] (0) | 2020.11.27 |
---|---|
중소기업 청년취업자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/자격요건/혜택 (0) | 2020.11.11 |
청년 특별 구직 지원금 신청방법 / 신청기간 / 대상 알아보기 (0) | 2020.10.14 |
청년 저축계좌 조건, 신청방법 / 중위소득 50%란? (0) | 2020.10.11 |
청년동행카드 중소기업 청년 교통비 신청방법 (0) | 2020.10.06 |